반응형
이 부처상은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보원사 터에서 옮겨온 것으로, 철로 만들어졌습니다. 비록 두 손은 없어졌지만, 오른 손목의 위치로 미루어 보아 석가모니가 보리수 아래에서 깨달음을 얻은 순간을 상징하는 항마촉지인을 취하고 있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. 이 부처상은 큰 머리와 자연스럽지 않은 옷주름으로 인해 고려 시대의 철불의 특징을 잘 보여줍니다. 특히 강원도 원주 법천사에서 출토된 철불 세 구와 비교해 보면, 얼굴 모습, 왼쪽 어깨에서 한 번 접혀진 편단우견, 왼팔이 접히는 부분에 있는 리본 형태의 옷주름, 항마촉지인의 손갖춤 등이 매우 유사하여 같은 조각가 집단이 만든 것으로 여겨집니다.
반응형